본문 바로가기
CST_회사 자료실

"전자파" 알아보기

by CST 2023. 4. 21.

 CST 

 

 전자파 (전기자기파)

 

 일단, 전자파는 원래 전기자기파 라고 합니다. 우리는 그걸 줄여서 전자파 라고 이야기 하고있습니다.

전자파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1.전기장 2.자기장 두가지 성분으로 구성된 파동이 서로 반복하며 대기중에서 빛의 속도로 퍼져 나갑니다.

1. 전기장 세기의 단위는 ? 전기장(E) 단위 길이당 전압(볼트V)로 기본 단위는 V/m

2. 자기장 세기의 단위는 ? 자기장(H), 자속밀도(B)로 나타낼수 있으며, 단위 세기는 테슬라(T) 또는 가우스(G)

전류(암페어 A)로 기본단위는 A/m 로 나타냅니다.

( 1 테슬라(T)는 10⁴ 가우스(G)입니다. )

 

 전자파는 인체에 해로운가?

 

 전자파 세기 마다 다르다고 할수 있을것같습니다. 강한 세기 일수록 안좋겟죠? 약한 세기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1년 365일 전자파에 노출될수밖에 없습니다.

 

 대한민국에서 파는 제품은 KC인증을 다 받아야 하고, 우리는 그런 제품을 구입하기 떄문에 그나마 걱정이 덜 되긴 합니다. 파는 제품중에서는 각 전자파가 다 다르나 국가에서 스펙이 있고, 절차가 있습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구입시 좀 더 안전한 제품을 사용할수있는거겟죠?

 

 

 전자파 어느정도 안좋은건가?

 

 

 전자파,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일상생활에서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몸에 와닿는 점은 예로 핸드폰으로 전화통화를

너무 오래 하다보면 핸드폰 자체도 뜨거워지지만, 핸드폰이 닿는 신체부위 얼굴, 피부가 뜨겁게 느껴집니다. 그 부분이 열적 영향인데, 전자파에 인체가 노출되면 체온이 상승하여 세포나조직의 기능에 영향을 줄수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안심하고 전자기기를 이용하나?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제품 구입시에는_ 국가에서 정한 절차 후 시중에 판매 가능하다고 했는데요

정확하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00년 12월에 전자파인체보호기준, 전자파강도 측정기준, 전자파흡수율 측정기준, 전자파강도 및 전자파흡수율 측정대상기기·측정방법 등 관련 고시를 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2002년 4월부터 휴대폰, PDA 등에 대한 전자파흡수율(SAR) 측정 의무화하여 전자파인체보호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시장에 유통되도록 하고 있으며, 2007년 6월부터는 휴대폰 기지국의 전자파강도 측정 및 보고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한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현행 머리에 사용하는 무선통신기기에만 적용하고 있는 전자파흡수율 제한 규제를 인체에 근접 사용하는 무선통신기기(태블릿PC, 노트북 PC 등)로 확대하였습니다.

이런 법이 제정되었고, 국가는 적법한 평가와 절차를 통해 지정시험기관 을 지정하였습니다.

 

 지정시험기관 이란?

 

 방송통신기자재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기술기준의 적합성여부를 시험하는 기관으로

전파법 제 58조의 5(시험기관지정 등)에 명시된 근거에 의해 지정기관인 국립전파연구원으로부터 관련규정에 따라 지정을 받아 시험업무를 종사하는 기관을 말합니다.

지정시험기관의 지정에 관한 세부적인 규정은 전파법시행령 제 77조의 9 및 방송통신기자재등 시험기관지정 및

관리에 관한 고시(국립전파연구원 고시)에서 지정절차 및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정기구(KOLAS)란?

 

 한국인정기구(KOLAS)는 국가표준제도의 확립 및 산업표준화제도 운영, 공산품의 안전/품질 및 계량ㆍ측정에 관한 사항, 산업기반 기술 및 공업기술의 조사/연구 개발 및 지원, 시험, 교정, 검사, 표준물질생산, 메디컬시험, 숙련도시험운영, 제품인증, 생물자원, 타당성평가 및 검증 인정제도의 운영, 표준화 관련 국가간 또는 국제기구와의 협력 및 교류에 관한 사항 등의 업무를 관장하는 국가기술표준원 조직입니다.

 

 국가기술표준원장이 KOLAS장의 역할을 수행하고, KOLAS는 「국가표준기본법」,「적합성평가 관리 등에 관한 법률 」 및 ISO/IEC 17011의 규정에 따라 교정기관, 시험기관, 검사기관, 표준물질생산기관, 메디컬시험기관, 숙련도시험운영기관, 제품인증기관, 생물자원은행, 타당성평가 및 검증기관 인정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인정기구'는 법 및 국제표준관련기구에서 정한 국제기준에 의거 교정, 시험, 검사, 표준물질, 메디컬시험, 숙련도시험운영기관, 제품인증기관, 생물자원은행, 타당성평가 및 검증기관을 평가하여 공인하는 기구를 말합니다.

'공인기관'은 KOLAS로부터 인정을 획득한 교정, 시험, 검사, 표준물질생산, 메디컬시험, 숙련도시험운영기관, 제품인증기관, 생물자원은행, 타당성평가 및 검증기관을 을 말합니다.

 국립전파연구원 지정시험기관, KOLAS 인정시험기관에 등록 되어있는곳

 

 

 

마무리

(주) 씨에스텍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화성로330번길 7-1                    문의사항 031-493-2001      

http://www.cstlab.co.kr

댓글